T. 032-446-5216 E. jiu_kuchayong@jiu.ac.kr
상세약력보기1. “샤머니즘적인 영성의 도전에 직면한 한국 개신교의 선교적 과제”. 장신논단 제10집 1994,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554-583 (“샤머니즘과 한국교회의 신학과 신학교육”이란 제목으로 1994년 10월 21일 한국기독교공동학회 한국선교신학회에서 발표한 것을 보완한 것임, 학회에서 발표한 글은21세기 한국신학의 과제 한국기독교학회 엮음, 대한기독교서회 1994, 307-336에 실려있음.)
2. “선교학과 문화인류학”, 1994년 9월 5일,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개강예배 및 심포지엄에서 발표한 것의 수정, 보충. 교회와 신학 제27집 1995,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553-576.
3. “선교신학에 있어서 해석학과 커뮤니케이션의 논의”, 장신논단 제11집 1995,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338-367.
4. “20세기 선교의 회고와 전망” Christian Mission in the 20th Century: Retropect and Prospect, 1996년 가을, 장신논단 제12집 1996,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347-369.
5. “Schamanismus als Herausforderung für die koreanische Kirche.” Kim Young-Dong, 1993년 2월 2-4일 옛 동독 Chorin에서 있은 베를린 선교부(BMW)의 선교협의회(Klausurtagung)에서 발표한 것으로, 독일의 학술적인 선교잡지 Zeitschrift für Mission Jg. XIX Heft 2 1993, 72-83에 실렸음.
6. “Mission als Ausdruck der Selbständigkeit(Korea).” Kim Young-Dong, Zeitschrift für Mission Jg. XX Heft 4 1994, 199-203.
10. “최근 선교와 신학의 동향 및 문헌정보 안내” 장신대 세계선교연구원 엮음. 선교와 신학 제1집 (1998),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25-249
11. “이주노동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전도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엮음, 외국인 노동자 선교와 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0, 217-248
12. “인식론이 선교에 미친 영향 연구” 장신대 세계선교연구원 엮음. 선교와 신학 제5집 (2000),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73-226
13. “상황화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에 대한 신학적 고찰” 하나님나라와 선교: 서정운 명예총장 은퇴 기념 논문집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169-190
14. “Indigenous Peoples' Challenge for the Mission Theology in Asia"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2, May 2002, Seoul: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Press, 161-193
15. “TRANSFORMING MISSION : Paradigm Shifts in Theology of Mission" 교회와 신학 2001년 가을호 제46호, 160-162.
16. “세계화의도전에 직면한 선교신학” 교회와 신학 2001년 겨울호 제47호, 78-86.
17. “복음과 문화” 교회와 신학 2002년 가을호 제50호, 152-157.
18.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교육 성명을 통해본 21세기 선교학 교육의 방향” 교회와 신학 2002년 겨울호 제51호, 41-44.
19. "21세기 한국선교의 반성과 미래적 과제" 「통합신학논단」한국통합신학회지 제2권, 2002. 10. 10, 215-260.
20. “문화에 대한 역사적 검증” 선교신학 6집(2002. 12. 13), 39-60.
21. “선교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와 가정”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편. 하나님의 나라와 가정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199-215.
22. “A Study on Encounter and Conflict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in Indonesia,”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 3 (May 2003), 125-163.
23. “오늘의 선교와 십자가 신학” 「장신논단」 19(2003.9.30.), 323-349
24. “아시아 선교신학의 방향” 미션아카데미, 「선교와 신학」 제11집(2003.6.30.), 47-86.
25. “21세기 기독교사회의 바람직한 패러다임: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사회연구」2003년 12월 창간호, 123-179.
26. “교회노인학교와 노인선교” 「장신논단」21,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4. 6. 30, 305-329
27. “사이버 문화의 도전과 현실에 처한 선교” 「교회와 신학」 No. 62, 2005, 27-34
28. “인도네시아 이슬람의 전통 종교 문화와의 만남과 특성” 「복음과 선교」 제1권 1호(2006), 245-265
29. “도시선교 신학에 대한 탐구와모색” 「장신논단」 25(2006), 229-257
30. “변화하는 선교와 변하지 않는 복음,” 「교회와 신학」 가을호(2006), 160-163
31. “변화하는 상황 속의 선교 동향과 전망,” 「바른 신학, 균형목회」 (2006), 181-205
32, “복음전도와 생명목회”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생명살리기운동 10년위원회 외 편, 「하나님 나라와 생명목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1-12
33. “민속 이슬람과 인도네시아 무슬림 선교,” 「장신논단」 32(2008), 45-75
34. “새로운 선교 프락시스를 위한 모델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 59(2008, 10), 317-338
35. “21세기 목회현장을 위한 사회봉사 신학 정립과 실천 방향 연구,” 「21세기 교회와 사회봉사」 (2008), 343-424
36. “아돌프 슐라터 신학의 선교적 의의에 대한 연구,” 「장신논단」 제36집(200912), 207~233
37. “Afrika von Asien aus gesehen: eine koreanische Perspecktive,”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 9 (2009. 12), 153-175
38. “섬김과 하나됨의 생명선교,” 「선교신학」 제22집(200911), 193~221
39. “교회사에 나타난 청소년 사역,” 「선교와 신학」 27집(201102), 13~45
40. “반기독교 운동의 도전과 선교,” 「장신논단」 38호(201008), 359~380
41. “신학적 미학에 대한 선교신학적 연구,” 「신학논단」 46권(201106), 29~52
42. “영화 함께 보면서 선교 배움과 학습 연구,” 「교육과 영화의 만남」 제7호(201109), 89~118
43. “선교와 선교학의 중심 주제에 관한 연구: 2011년을 중심으로,” 「한국선교KMQ」 11권 2호(201112), 134~148
44. “한국선교와 선교학의 동향: 그 평가와 성찰,” 「장신논총」 제4권 (201202), 319~340
45. “복음 전도에 대한 신학적 재고,” 「교회와신학」 제77집(201302), 187~212
46. “1912년 산동선교 환경과 선교적 의의,” 「한국선교」 11권 4호(201206), 8~14
47. “한국 장로교 선교 100년: 장로교단의 선교신학 비교 연구,” 「장신논단」 44권 2호(201207), 105~128
48. “시니어 선교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신학적 방향,” 「선교와신학」 32권(201308), 43~76
49. “WCC 선교와 전도에 대한 새로운 확언에 대한 비평적 고찰,” 「장신논단」 45-2 (201306), 41~66
50. “WCC 새로운 선교문서 '함께 생명을 향하'(TTL)의 한국적 적용,” 「선교와 신학」 34집 가을호(201408), 13~44
51. “공적선교신학 형성의 모색과 방향,” 「장신논단」 46권 2호(2014. 06), 297~322
52. “현대선교 동향과 한국교회 과제,” 「평대원」 26(2014. 07), 70~96
53. “북한선교의 현황과 접근방식 고찰,” 「교회와 신학」 제80집(2016. 02), 347~372
54. “종교와 폭력의 연관성에 대한 선교신학적 성찰,” 「선교와 신학」 68 (2016. 02), 15~45
55. “교육선교의 이슈와 과제에 대한 연구,” 「교회와 신학」 81 (2017. 02), 265~290
56. “Misiologi Transformasi yang Kontekstual dan Ekumenikal,” PAMBELUM: Jurnal Teologi Kontekstual Vol.6 No. 1 (2016), 49~70
57. “디아스포라 선교학 틀에서 본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선교신학적 과제,“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 49 No.4 (2017. 12), 337-364
58. “존 힉의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선교와 신학」 제44집 (2018.02), 197 - 224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학과 졸업(B. S.)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M. Div.)
몽골 국립종합대학교 몽골학 박사과정
몽골 국립사범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박사(Ph. D.)
영도교회, 소망교회 교육전도사, 예장 서울강남노회에서 목사 안수(1990)
영화교회 (강남노회) 부목사
예장(통합) 총회 세계선교부 파송 몽골 선교사(1992-2012)
울란바타르한국어학교(Korean Language School) 설립, 교장(1993-1995)
울란바타르대학(Ulaanbaatar College)설립, 학장(1995-2002)
울란바타르대학교(Ulaanbaatar University) 승격, 총장(2002)
몽골 대학협의회(Consortium) 이사(2004-2008)
울란바타르대학교(International University of Ulaanbaatar) 1, 2대 총장(2002-2010)
학교법인 울란바타르대학교 재단이사(2002-2011)
재단법인 한국기독교학술원 이사(2007-2011)
미국 풀러신학대학교(Fuller Theological Seminary) 방문교수(2010-2011)
한국기독교선교100주년기념교회 전임목사(대외 및 선교총괄) (2012-2015)
주안대학원대학교 2대, 3대 총장(2015-2023)
몽골유학생선교회(MOSTA) 설립, 이사(2013-현재)
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협력교수(2023-현재)
몽골 울란바타르 시(市) “명예시민” 훈장
몽골 제국 건국800주년기념 대통령 훈장
몽골복음주의협의회 “연합의 사역자” 칭호 표창장
몽골 문교부, 대학협의회 선정 “올해의 총장(2003)” 수상
몽골 정부 “교육최고위원(볼럽스럴 테르구니 아질틍)” 훈장
몽골 문교부장관(조흐 비치크) 표창장
한국선교신학회 총무 (2021년~현재)
뉴마미니스트리 총제작 (2021년~현재)
오순절성령연구소 부소장 (2017년~현재)
금란교회 협동목사 (외국인 선교 & 우간다 선교) (2023년~현재)
믿음의승리교회 협동목사 (2016년~현재)
금란교회 청소년부 담당 및 선교국장 (2016~2022년)
믿음의승리교회 설립 담임목사 (2013~2016년)
런던윔블던한인교회 청소년부 담당목사 (2011~2012년)
런던구세군한인교회 청소년부 담당목사 (2010~2011년)
대전대흥침례교회 중등부 담당목사 (2009~2010년)
동국대학교 졸업(B.A)
미국 Liberty University Pastoral Counseling(M.A)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Ph. D.)
現 주안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現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겸임교수
現 마인드프레임 심리상담센터 센터장
現 마음의 쉼 심리상담연구소 소장
現 국가자살예방상담 상담사
現 인천재난심리지원센터 위촉위원
現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재난 트라우마 심리전문가
학위논문
“아동기 학대경험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2019.
게재논문
“아동기 학대경험과 단절/거절도식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20집,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