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필 |
D81114 |
신약선교신학
본 과목은 신약성서의 선교신학 조망을 위해 주로 신약성서 첫 문헌집(corpus)인 바울서신의 선교신학을 고찰하는 15개의 수업이다. 이 수업을 통해 바울서신에 나타나는 바울의 선교적 사유와 실천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고, 바울의 신학적 사유를 바울서신 이후의 신약문헌들의 선교신학과 비교하며 신약성서 전체의 선교신학을 조망하여 신약성서의 선교적 사유와 실천이 오늘날의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과 실천의 방향을 위해 가지는 함의를 파악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
3 |
3 |
|
|
|
|
|
|
|
|
|
|
3 |
|
|
전필 |
D81115 |
세계선교역사
지난 2000년 동안 교회는 예수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해 왔다. 처음 갈릴리 촌사람들로 구성된 시림들로부터 시작된 예수님의 복음은 당시 세계를 지배하던 로마를 바꿔놓았고, 다시 유럽을 거쳐서 이제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전 세계로 퍼졌다. 이토록 기독교의 확장의 역사는 곧 세계선교의 역사다, 지난 40여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한 한국교회의 선교도 우리만의 자체적인 선교의 태동이 아니라 2천 년 세계선교역사의 큰 흐름에 잇대어 흘러온 선교운동의 지류이다. 이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우리의 선교운동의 지속성을 위해서 세계선교의 풍부한 유산을 올바로 학습하고 건강하고 바람직한 선교를 위하여 세계선교역사에 비추어진 사실들을 통해서 현재의 선교의 이론과 실천을 다시 한 번 분석하고 고찰해본다.
|
3 |
3 |
|
|
|
|
|
|
|
|
|
|
3 |
|
|
전필 |
D81104 |
Intercultural Studies(3) |
3 |
3 |
|
|
|
|
|
|
|
|
|
|
3 |
|
|
전필 |
D81108 |
연구방법세미나
신학, 종교학, 선교학 논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지하고 선교학박사(PhD in Intercultural Studies) 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방법을 습득한다. 학생들에게 논문 실습과제를 부여하고 평가와 첨삭지도를 함으로써 실제적인 논문작성을 시작한다.
|
3 |
3 |
|
|
|
|
|
|
|
|
|
|
3 |
|
|
전선 |
D81226 |
선교적교회 |
3 |
3 |
|
|
|
|
|
|
|
|
|
|
|
3 |
|
전선 |
D81231 |
이슬람선교연구 |
3 |
3 |
|
|
|
|
|
|
|
|
|
|
|
3 |
|
전선 |
D81236 |
구약과 이민족연구
구약성서의 본문들 중에서 이민족에 관한 본문들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그것을 통해 구약이 말하는 이민족에 대한 신학이 무엇이며, 그것을 오늘의 선교신학과 선교적 상황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연구한다.
|
3 |
3 |
|
|
|
|
|
|
|
|
|
|
|
3 |
|
전선 |
D81213 |
맞춤선교 세미나(1) |
3 |
3 |
|
|
|
|
|
|
|
|
|
|
|
3 |
|
전필 |
D81110 |
현대선교신학사상
현대선교신학사상의 과목은 현대의 선교적 흐름과 신학적 흐름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흐름들이 오늘날 선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되어 가는지에 대해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
3 |
3 |
|
|
|
|
|
|
|
|
3 |
|
|
전필 |
D81116 |
현오순절선교신학
성경 특히 신약에서는 성령님께서 제자들에게 임하신 가장 주된 목적이 선교의 사명을 위해 이들을 무장시키기 위함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위로자 성령님께서는 오늘날 많은 설교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우리를 편하게 안식하게 하기 위해서 임하시는 것이 아니라 선교사로 만들기 위해서 임하신다. 오늘날을 성령의 시대라고 한다. 20세기에 막 등장한 오순절, 은사주의 운동은 불과 100년이 조금 넘는 세 월 동안에 다른 기독교 교파들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주목할 만하게 성장하였다. 특히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약 7억이 넘는 오순절, 은사주의 신도들의 숫자가 복음주의, 정통교회의 숫자를 훨씬 뛰어넘게 되었다. 강의의 전반부에는 먼저 성령론을 성서, 조직신학적 방법론으로 살펴보고 후반부에는 오순절/은사주의 기원과 신학 그리고 이두운동의 신학적 차이점을 명확하게 구분 짖고 마지막으로 성령론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두 운동 사이의 다른 신학적 관점들을 분석하고 비교 연구하려고 한다. 또한 현대 오순절/은사주의 연구의 역사와 방향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며, 아울러 한국의 오순절, 은사주의 신학의 특징도 대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
|
|
3 |
3 |
|
|
|
|
|
|
|
|
3 |
|
|
전필 |
D81105 |
Intercultural Studies(4)
현대선교신학사상의 과목은 현대의 선교적 흐름과 신학적 흐름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흐름들이 오늘날 선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되어 가는지에 대해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
3 |
3 |
|
|
|
|
|
|
|
|
3 |
|
|
전선 |
D81235 |
신약신학과 선교세미나
신약성서신학이 다루는 선교 이슈를 다루는 여러 학자들의 소논문을 발제/토론함으로 신약성서선교신학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도록 고안된 15주간/수업의 과정.
|
|
|
3 |
3 |
|
|
|
|
|
|
|
|
|
3 |
|
전선 |
D81232 |
선교해석학
선교 해석학 과목에서는 선교 신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이론적 기초위에, 선교 Context에 대한 이해를 어떤 관점에서 해석해야 하는지를 학습한다.
|
|
|
3 |
3 |
|
|
|
|
|
|
|
|
|
3 |
|
전선 |
D81229 |
전문인 선교연구
전문인 선교연구를 통하여 다양화되는 선교 현장에서 구체적인 선교전략을 세워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현장접근 방법과 선교의 장을 연구한다.
|
|
|
3 |
3 |
|
|
|
|
|
|
|
|
|
3 |
|
전선 |
D81228 |
세계종교이해
본 과목은 20세기 이후 대표적인 종교다원주의 학자들(존 힉(John Hick), 폴 니터(Paul Knitter), 존 캅(John Cobb), 그리고 변선환)의 사상을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
|
3 |
3 |
|
|
|
|
|
|
|
|
|
3 |
|
전필 |
D81117 |
구약선교신학
구약성서에 나타나는 성서적 주제들과 선교와의 상관성을 탐구하기 위해 선택된 구약성서의 본문을 선교적 해석학의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구약신학과 선교신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
|
|
|
|
3 |
3 |
|
|
|
|
|
|
3 |
|
|
전필 |
D81118 |
하나님의 선교안에서의 타종교
복음의 유일성을 강조하는 기독교가 세상에서 부딪혀야 하는 다른 종교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런 관점에서 세상에 존재하는 종교를(한국에 존재해 있는 종교들까지 포함해서) 함께 연구한다.
|
|
|
|
|
3 |
3 |
|
|
|
|
|
|
3 |
|
|
전필 |
D81102 |
Intercultural Studies(1)
기독교 복음은 유대인과 고대근동 그리고 헬라-로마 문화 속에 주어졌다. 성경 저자들이 고대근동과 그리스-헬라의 문화를 만났을 때, 그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여 복음을 전하고 성경을 기록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 오늘 선교지에서 선교지 문화를 선교사가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여 복음을 전할지를 연구한다.
|
|
|
|
|
3 |
3 |
|
|
|
|
|
|
3 |
|
|
전필 |
D81108 |
연구방법세미나
신학, 종교학, 선교학 논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지하고 선교학박사(PhD in Intercultural Studies) 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방법을 습득한다. 학생들에게 논문 실습과제를 부여하고 평가와 첨삭지도를 함으로써 실제적인 논문작성을 시작한다.
|
|
|
|
|
3 |
3 |
|
|
|
|
|
|
3 |
|
|
전선 |
D81216 |
선교현장조사방법론
일반적으로 선교학 연구에서 차용하는 현장연구방법론은 질적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이다. 본 과목은 수강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질적연구방법들(research methods)을 이해하고 그 중 자신의 연구에 활용할 방법을 택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실재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
|
|
|
3 |
3 |
|
|
|
|
|
|
|
3 |
|
전선 |
D81234 |
선교문화인류학
불변하는 진리인 복음을 끊임없이 유동하는 문화적 상황에 적절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복음이 전달될 대상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과목은 문화 이해와 사역에 대한 실질적 적용이 주는 유익을 문화인류학적 통찰에 기초하여 살피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
|
|
|
|
3 |
3 |
|
|
|
|
|
|
|
3 |
|
전선 |
D81215 |
논문세미나 |
|
|
|
|
3 |
3 |
|
|
|
|
|
|
|
3 |
|
전선 |
D81214 |
맞춤선교 세미나(3)
세계선교와 각 교파가 발흥한 영국지역을 미리 연구하고 정해진 기간에 대학, 박물관, 선교단체, 교회 등을 방문한 뒤 그에 관련된 세계선교역사와 상황 등을 이해하고 각자의 현장에 적용하는 것을 수업의 주목적으로 한다.
|
|
|
|
|
3 |
3 |
|
|
|
|
|
|
|
3 |
|
전필 |
D81109 |
교회성장 이론과 실제
본 과목은 교회성장의 이론과 실제를 다루는 과목으로 교회성장의 기초적인 원리와 이론들을 공부하고 나아가 21세기 새롭게 부상하는 교회론에 대하 함께 연구하는 과목이다.
|
|
|
|
|
|
|
3 |
3 |
|
|
|
|
3 |
|
|
전필 |
D81119 |
도시선교와 지도력 개발
현대 도시 선교에 대해서, 도시에 사는 목회자 리더십 개발에 대해서 연구한다.
|
|
|
|
|
|
|
3 |
3 |
|
|
|
|
3 |
|
|
전필 |
D81103 |
Intercultural Studies(2)
본 강의는 아시아의 현실과 상황에 대한 선교신학적 접근방법을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아시아의 종교적 가치관과 신학적 내용을 통해 현대 아시아가 직면한 현대적 문제를 어떻게 풀어 가는지 신학적 재구성 차원에서 진행된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문화와 전통의 유산을 선교신학적으로 소화하고 발전시키는 신학이론을 배운다. 아시아 신학의 생성과 발전을 이해하며 서구신학과의 상호 비교이해를 통해 다문화사회, 다원화 사회
|
|
|
|
|
|
|
3 |
3 |
|
|
|
|
3 |
|
|
전선 |
D81230 |
구약신학과 선교세미나
구약신학과 선교세미나는 구약신학의 중요한 연구과제들 중의 하나를 선정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며, 그것을 선교신학과 접목하여 의미를 도출해 내는 고급 단계의 세미나이다. 매 학기의 주제는 그 때마다 다르게 설정된다.
|
|
|
|
|
|
|
3 |
3 |
|
|
|
|
|
3 |
|
전선 |
D81233 |
NGO와 선교
내외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에게 맞추어서 실천하는 맞춤선교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전문능력을 기르는 과목이다. 선교 현장을 방문, 조사, 연구하는 교육과 현장과의 교류 및 실천 방안을 직접 개발해 볼 수 있는 실습 중심의 세미나로 진행한다. 금번 학기에는 NGO와 선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
|
|
|
|
|
|
3 |
3 |
|
|
|
|
|
3 |
|
전선 |
D81217 |
사회조사방법론
본 과목은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어 갈 Context에 대해서 외부자의 관점 및 내부자의 관점을 가지고 살펴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사회 과학적 조사 방법이라는 툴을 사용한다. 무엇보다 이런 툴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workshop을 통해서 학습 능력을 배양한다.
|
|
|
|
|
|
|
3 |
3 |
|
|
|
|
|
3 |
|
전선 |
D81212 |
맞춤선교 세미나(1) |
|
|
|
|
|
|
3 |
3 |
|
|
|
|
|
3 |
|
전필 |
D81111 |
논문지도 |
|
|
|
|
|
|
0 |
0 |
|
|
|
|
0 |
|
|
전필 |
D81106 |
학위논문1 |
|
|
|
|
|
|
|
|
0 |
6 |
|
|
6 |
|
|
전필 |
D81107 |
학위논문2 |
|
|
|
|
|
|
|
|
|
|
0 |
6 |
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