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안대학원대학교

본문 바로가기
즐겨찾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학과안내
학과안내 커리큘럼 선교학(M.A./TH.M.)전공
커리큘럼
*1-1 : 1학년 1학기
선교학 커리큘럼 리스트
구분 학수코드 학습과목명 1-1 1-2 2-1 2-2 전필 전선 비고
시수 학점 시수 학점 시수 학점 시수 학점
전필 M51101 선교학개론 선교학개론은 기독교 선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성경에 기초한 선교신학과 교회 역사에 대한 선교신학의 역사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해를 하도록 하며, 현대 선교의 다양한 흐름들을 포괄하는 통전적(총체적) 선교신학을 정립한다. 선교학이 다루고 있는 학문적인 영역과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선교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세계 선교사역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3 3
전필 M51111 구약개론 구약의 개론적인 이해를 하여, 선교 신학에 적용할 기초를 마련한다. 3 3 3
전필 M51112 세계선교운동사 세계선교운동사 과목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 이후 복음의 확산을 역사적 관점 속에서, 특별히 기독교적 역사관에 의해 살펴봄으로써 선교의 주체가 삼위 일체 하나님이시며, 그 하나님을 그가 선택한 백성들을 통해서 역사하시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3 3 3
전필 M51107 연구방법론 석사논문 작성의 기초를 배우고, 석사논문 작성의 방법을 이론과 실제로 나누어 배우고 익힌다. 3 3 3
전선 M51235 신약선교세미나 주로 신약개론 과목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바울서신(1차자료)과 사도행전(2차자료)에 나타나는 바울의 선교적 사유와 실천의 문제를 신약성서학적으로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된 15주간의 강의와 세미나 수업. 3 3 3
전선 M51229 맞춤선교Ⅰ 삶의 현장에서 선교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방식을 문화인류학적 기반 위에서 습득한다. 3 3 3
전선 M51211 선교교육 3 3 3
전선 M51219 선교지역연구 3 3 3
전선 M51223 선교영어Ⅰ 국제시대에 선교현장에서 꼭 필요한 영어전도의 필수표현에서 실전회화 그리고 신학에 필요한 기본 신학영어 등을 배우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그래서 학기말에는 자신이 선교지에서 간단한 의사소통과 복음제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만드는 것을 강의의 목표로 삼습니다. 3 3 3
전필 M51113 선교의 구약성경적 기초 구약의 제 본문들과 구약신학이 어떻게 선교의 기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Missio Dei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3 3 3
전필 M51116 조직신학개론 본 과목은 복음적 목회자, 선교사 그리고 평신도 사역자 양성을 위해 필요한 기독교 신앙의 이성적 이해와 체계화를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기독교 신학의 기본개념과, 역사적으로 발전된 교리들의 체계에 대한 이해와, 그리고 이전의 체계들 속에 있는 문제점들과 유용한 점들에 대한 비판과 점검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비판들을 통하여 현재 자신의 신앙과 교회와 학교의 선교교육이념에 합당한 교리의 체계들을 정립해 보고자 노력해 볼 것이다. 3 3 3
전필 M51106 한국선교운동사 본 과목은 한국 선교 운동사로 한국 초기 선교 역사와 내한 선교사들의 선교 선교적 삶과 선교 방법을 연구하고 한국 근대 역사 속에서 교회와 선교가 어떻게 발전하고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모색해 본다. 3 3 3
전선 M51237 로잔운동과 선교 ‘현대 복음주의 선교운동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로잔운동은 오늘날 복음주의 선교단체나 교회를 한 곳에 모이게 하여 올바른 선교 방향을 제시해 준다. 1974년 제1차 로잔대회로 시작하여 1989년 제2차 마닐라 대회, 2010년 제3차 케이프타운 대회로 이어진 로잔운동은 현대선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과목은 3차에 걸친 로잔대회에서 발표된 로잔언약, 마닐라 선언, 케이프타운 서약을 중심으로 로잔신학과 선교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로잔운동이 현대선교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어떤 방향성을 갖추어야 할 것인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3 3
전선 M51230 맞춤선교Ⅱ 본 과목은 19-20세기 영향력 있는 선교사들의 삶과 사상을 연구함으로 보다 선교의 지평을 넓히고 한국 선교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 본다. 3 3 3
전선 M51215 맞춤선교세미나 선교적 삶을 사는 청지기들의 역할을 실제 상황에 버금가는 상황을 설정하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도를 유도하는 수업이다. 관련한 도서, 문헌, 센터를 찾고 학습한 뒤에 멤버케어 모델을 구상하여 공유하고 돌봄이 필요한 대상을 선정하여 자신의 도구를 적용한다. 3 3 3
전선 M51220 선교현장실습 선교현장을 연구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타문화권을 경험하고, 배운다. 3 3 3
전선 M51213 선교언어2(헬라어) 본 수업은 신약성서 헬라어의 기초 문법을 배우고 익히는 수업이다. 헬라어를 전혀 알지 못하거나 혹은 새롭게 시작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수업이므로 알파벳부터 시작해서 기초 문법을 익히는 과정이다. 이 수업의 목표는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스스로 신약성서의 기초적이지만 중요한 다수의 문장들을 해석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3 3 3
전필 M51114 신약개론 신약성서의 형성, 구조,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역사적, 문학적, 신학적 방법들을 4복음서 위주의 강의를 통해 습득하고 신약성서 전체의 맥락과 각책의 내용을 조망하기 위한 개론적 수업. 3 3 3
전필 M51105 전도와 교회성장 복음 전도와 교회 성장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함께 21세기 한국 교회가 넘어가야 할 전도와 교회 성장에 대한 장벽들을 살펴보고, 한국 교회에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전도와 교회 성장에 대해서 성서적으로, 선교신 학적으로 살펴본다. 3 3 3
전필 M51115 타문화선교 다양한 문화를 연구함으로써 타문화권 선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특히 단일 문화권에 속하는 대한민국 교회가 받아들인 복음을 타문화권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방법을 연구한다. 금번 학기에는 기독교가 중국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시도된 타문화권 이해과정과 중국인의 문화적 반응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3 3 3
전필 M51107 연구방법론 석사논문 작성의 기초를 배우고, 석사논문 작성의 방법을 이론과 실제로 나누어 배우고 익힌다. 3 3 3
전선 M51236 구약선교세미나 구약선교세미나는 구약신학의 중요한 연구과제들을 선정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며, 그것을 선교신학과 접목하여 의미를 도출해 내는 고급 단계의 세미나이다. 이번 학기의 주제는 ‘전도서와 세계관’이다. 3 3 3
전선 M51231 맞춤선교Ⅲ 초문화적 관점에서 전생애적 자기 돌봄/타인 돌봄을 함축하고 있는 Life Skills를 개인적, 신체적, 관계적, 전문적, 영적 5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영역별로 소주제를 2~3개 선정하여 간략한 이론정리와 함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한다. 3 3 3
전선 M51214 Intercultu ral Studies 3 3 3
전선 M51219 선교지역연구 3 3 3
전선 M51224 선교영어Ⅱ 선교와 연관된 영어를 책, 음악, 영화, youtube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익숙하게 한다. 3 3 3
전선 M51225 선교영어Ⅲ 3 3 3
전필 M51117 선교의 신약성경적 기초 이 과목은 수강자들에게 선교의 신약성서적 기초를 가르치기 위한 15주간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통해 신약성서 전반에 나타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대해 성서선교신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방식의 수업을 진행한다. 3 3 3
전필 M51104 교회와 선교 교회와 선교의 역사적 페러다임을 함께 살펴보고 초대교회에서부터 21세기 까지 교회와 선교의 상관 관계를 보다 긴밀하게 연구한다. 3 3 3
전필 M51103 현대선교신학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선교 신학에 대해서 연구한다. 3 3 3
전필 M51110 학위논문 0 6 6
전선 M51222 전도의 이론과 실제 복음적 목회자, 선교사 그리고 평신도 사역자 양성을 위해 필요한 기독교 신앙의 이성적 이해와 체계화를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내외의 선교현장에서 실재적인 전도의 이론과 방법을 통해서 실재적인 교회개착시역과 교회성장을 이루어내는 지도자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전도의 이론들과 신학들 그리고 실재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새로운 환경과 상황에 따른 전도방법을 찾아보고 각 개인에게 적용시키는 것을 한 학기 강의의 목표로 한다. 3 3 3
전선 M51221 선교와 문화인류학 복음을 온전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두 가지 조건에 대한 이해, 곧 복음 자체(text)에 대한 이해와 복음이 전달되는 상황(context)에 대한 이해를 요구된다. 본 과목은 위에서 제시한 두 가지 조건들 중 번째 조건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다양한 선교문화인류학적 제 조건들에 대해 연구한다. 3 3 3
전선 M51220 선교현장실습 선교 이론과 현장 실천을 연결하는 과목으로, 선교현장을 방문한고 현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과의 만남을 경험하고 배운다. 선배 선교사들의 활동을 관찰하고 경험을 듣고 선교학적으로 성찰한다. 3 3 3
전선 M51232 맞춤선교 Ⅳ 성경과 문화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성경 저자들이 접한 문화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어떻게 전했는지를 살펴보면서 오늘의 선교 현장의 문화 속에 복음을 어떻게 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3 3 3
전선 M51213 선교언어2 (히브리어) 선교언어로써의 히브리어에 대해 강의하되, 가능한 히브리어를 ‘쉽고 재미있게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초보자도 쉽게 히브리어를 익히게 한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문법 위주의 학습 방법을 지양하고, 암기보다는 히브리어의 문법과 단어를 가능한 자연스럽게 숙지하도록 한다. 기초적인 알파벳과 간단한 문법을 숙지한 후부터 바로 원문 강독을 시작하되, 직접 사전을 가지고 단어를 찾게 하고, 함께 차근차근 원문의 의미를 살펴 나간다. 3 3 3
합계 27 27 24 24 30 30 24 30
전필 / 전선 총계 48 63 111

그누보드5

2214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바위로 74번길 11(주안동) 주안대학원대학교   TEL.032-446-5200   FAX.032-428-9779

copyright 2020 ⓒ 주안대학원대학교.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